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 구석기 여행을 할 수 있는 전곡선사박물관이 있습니다. 전곡선사박물관은 동아시아 최초의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으로 세계 구석기 연구의 역사를 다시 쓰게 만들었던 역사적 현장인 전곡리 구석기 유적에 건립된 유적박물관입니다. 구석기 유물들을 중심으로 인류의 진화와 구석기시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의 유물들로 전시공간을 구성하였습니다.
주소 : 경기 연천군 전곡읍 평화로443번길 2
주차 : 무료주차
관람료 : 무료
이용시간 : 10:00~18:00
휴무일 : 매주 월요일, 1월1일, 설날, 추석
애완동물 : 불가
QR체크를 하고 들어가니 2층으로 안내를 합니다. 건물은 아주 깔끔하고 예쁘게 꾸며져 있어서 맘에 들었습니다.
2층으로 올라가니 전시관과 있고 카페도 있습니다. 나는 연천에 일이 있어 가던 중에 들른 거라 커피 마실 여유는 없어서 구경만 했습니다. ^^
올라오면 넓고 깔끔한 안내데스크가 있습니다. 안내데스크를 중심으로 왼쪽 고고학 체험실로 먼저 들어가 봅니다.
구석기시대 사용했던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왼쪽 사진은 신발과 가방 등이며 오른쪽은 자작나무로 만든 저장용기입니다. 제가 자작나무를 좋아해서 인지 눈에 확 띈 자작나무 저장용기. ㅎㅎ 너무 예쁘지 않나요!! ^^
고고학 체험실을 구경하고 다시 안내데스크 홀을 지나 전시실로 들어가 봅니다.
아래 사진은 안내데스크 옆에 전시되어 있던 구석기시대의 집 모형들입니다.
상설전시실로 들어가 봅니다. 입구에 전곡의 주먹도끼가 있습니다.
주먹도끼는 구석기시대 사람들에게 가장 소중한 만능 도구입니다. 동아시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전곡리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들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서양에만 있었다는 모비우스 교수의 학설을 무너뜨리고 세계 구석기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전시실로 들어서니 전시실 중앙에 대형 전시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인류 진화의 위대한 행진이라는 작품입니다. 약 700만 년 전의 투마이로부터 약 1만 년 전의 만달인까지 총 14 개체의 화석인류를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으며 이 전시를 통해 현재의 우리가 어떻게 진화하여 왔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왼쪽으로는 거대한 크기의 매머드 모형도 보이는데요 너무나 잘 만들어진 전시물이라 한참을 바라보았네요. ^^
왼쪽으로 들어가니 동굴벽화가 있습니다.
와.. 동굴벽화 멋지네요~^^
1. 선사시대 사람들은 왜 동굴벽화를 그렸을까요?
벽화를 그린 이유는 본 것을 그림으로 남기고 싶은 예술적 본능, 사냥의 성공을 기원하기 위한 간절한 마음, 언젠가 사냥에 참여하게 될 어린이들에 대한 사냥 교육 등 다양한 이유로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2. 무엇을 주로 그렸을까요?
구석기시대의 동굴벽화에는 수십 가지 종류의 동물이 등장합니다. 그중에 대다수는 훗날 가축이 되어 사람들의 일을 도와주거나 옷과 식량의 재료가 되기도 하고, 반려동물이 되기도 합니다.
3. 어떻게 그렸을까요?
동굴벽화들은 빨강, 검정, 노랑, 갈색 등 풍부한 색감으로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습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자연에서 어렵게 구한 물감으로 그렸으며 현대의 화가들이 놀랄 정도로 다양한 기교를 써서 마치 동물들이 살아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벽화를 그렸습니다.
전곡선사박물관을 관람하고 나오니 건물 뒤쪽으로 산책코스도 있어 올라가 봅니다. 와~ 너무 좋습니다. ^^
갈대도 있고 벤치도 있고.. 평일이라 사람은 없지만 주말에 가족 나들이하기 참 좋은 곳입니다.
산책코스 따라 쭈욱 가보니 선사유적지로 연결이 됩니다. 오늘은 시간이 없어 그냥 가지만 다음에 들러볼 생각입니다.
마스크를 벗으니 상쾌한 자연의 낙엽 냄새가 풍깁니다. 이 냄새 너무 좋습니다. ^^
조용히 걸어도 보고 벤치에 앉아 잠시 쉬어도 갑니다. 연천을 지나다니면서 이곳은 왜 몰랐을까.
박물관 구경도 하고 산책도 하고 좋네요~^^
'그린나래 라이프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채현의 석조각을 볼수 있는 남양주 봉선사 (8) | 2022.01.12 |
---|---|
파주 마장호수 출렁다리 (7) | 2021.12.26 |
철원9경, 임꺽정의 전설 고석정 (8) | 2021.12.06 |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 잔도길 (8) | 2021.12.05 |
포천 봉선사 옆 국립수목원(광릉수목원) (5) | 2021.11.26 |
댓글